본문 바로가기

24절기9

24절기 - 여름 절기 중 입하와 소만 뜻, 풍습, 음식 5월이 되면 본격적인 여름 절기의 시작으로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인 입하와 여덟 번째 절기인 소만이 다가옵니다. 푸르른 5월의 절기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관련된 풍습과 속담 그리고 음식 문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력 5월 절기 입하와 소만의 뜻, 의미 입하(立夏)의 뜻과 의미 음력 4월, 양력으로는 5월 절기인 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한자어 뜻과 같이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양력으로는 5월 5일 또는 6일 무렵으로 곡우와 소만 절기 사이에서 여름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한편으로는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를 의미하는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 불리기도 하며, 초여름이라는 뜻의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 2022. 5. 2.
24절기 - 4월 절기 청명과 곡우 뜻, 풍습, 음식 봄의 절기 청명(淸明)과 곡우(穀雨)의 뜻, 정의 청명(淸明), 한식(寒食), 식목일의 뜻과 의미 음력 3월, 양력으로는 4월에 드는 첫 절기인 청명은 맑을 청(淸), 밝을 명(明)이라는 한자어대로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녔습니다. 특히 청명은 매년 4월 4~6일경 오면서 비슷한 날에 오는 한식과 식목일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식은 한자어인 찰 한(寒), 밥 식(食)의 의미처럼 '찬 음식을 먹는 날'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목일은 심을 식(植), 나무 목(木) 자로 모두가 알고 있는 '나무 심는 날'입니다. 식목일은 비교적 근대인 1949년 대통령령으로 공휴일로 지정되었는데, 1960년대에 공휴일은 폐지되었다가 이듬해 삼림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공휴일로 부활하였으나 2006년 공휴일이 많다.. 2022. 4. 2.
24절기 - 봄 절기 중 경칩과 춘분 뜻, 풍습 경칩(驚蟄)과 춘분(春分)의 뜻, 정의 경칩 경칩(驚蟄)은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로 놀랄 경(驚)과 숨을 칩(蟄)의 한자어로 겨우내 틀어박혀 있던 만물이 깨어나는 절기를 뜻합니다. 우리 주변에는 주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말로 더 친숙한 절기입니다. 춘분 춘분은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는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봄 춘(春), 나눌 분(分)의 한자어이며, 태양이 정확히 0˚가 되는 날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집니다. 경칩은 3월 5일경, 춘분은 3월 20일경에 오고 사실상 입춘부터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까지를 봄절기라 하지만 경칩까지도 꽃샘추위가 오는 등 쌀쌀한 날씨와 봄기운이 동반되다가 춘분이 되어야 완연한 봄을 맞이하게 됩니다. 춘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지만, 실제 태양.. 2022. 3. 1.
24절기 - 새해 첫 절기 입춘과 우수 뜻, 풍습 양력 첫 달인 1월이자 새해 처음 맞이하는 소한과 대한 추위가 지나면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과 '대동강 물이 녹는다'는 우수의 절기가 있습니다. 2월 중 절기에 대한 의미와 음식 문화 그리고 주요 풍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력 2월 절기 입춘과 우수의 뜻 2022년 2월 중 절기인 입춘은 2월 4일, 우수는 2월 19일입니다. 입춘 입춘(立春)은 한자어 그대로 '봄에 들어선다' 또는 '봄을 맞이한다'라는 뜻으로 24절기 중 가장 먼저 오는 절기입니다. 하지만 2월 초순에 오는 만큼 실제 날씨는 겨울이지만, 추운 겨울을 뒤로하고 봄을 준비하는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우수 우수(雨水)는 입춘과 경칩 사이에 오는 절기로 한자어의 의미처럼 비와 물이라는 뜻이며, 겨울 동안 얼었던 얼음이 녹아 물이 되고 .. 2022.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