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24절기 - 4월 절기 청명과 곡우 뜻, 풍습, 음식

by condi 2022. 4. 2.

4월 봄의 절기 - 청명과 곡우
4월 봄의 절기 - 청명과 곡우

봄의 절기 청명(淸明)과 곡우(穀雨)의 뜻, 정의

청명(淸明), 한식(寒食), 식목일의 뜻과 의미

음력 3월, 양력으로는 4월에 드는 첫 절기인 청명은 맑을 청(淸), 밝을 명(明)이라는 한자어대로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녔습니다. 특히 청명은 매년 4월 4~6일경 오면서 비슷한 날에 오는 한식과 식목일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식은 한자어인 찰 한(寒), 밥 식(食)의 의미처럼 '찬 음식을 먹는 날'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목일은 심을 식(植), 나무 목(木) 자로 모두가 알고 있는 '나무 심는 날'입니다. 식목일은 비교적 근대인 1949년 대통령령으로 공휴일로 지정되었는데, 1960년대에 공휴일은 폐지되었다가 이듬해 삼림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공휴일로 부활하였으나 2006년 공휴일이 많다는 이유로 재차 폐지되었습니다. 하지만 공휴일만 폐지되었을 뿐 지금도 관련 정부기관부터 개인에 이르기까지 나무 심는 행사를 하는 등 그 명맥은 꾸준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곡우(穀雨)의 뜻과 의미

곡우는 봄의 마지막 절기인 양력 4월 20일~ 21일 사이에 해당하며, 곡식 곡(穀) 자와 비 우(雨)라는 한자어로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선조들은 풍작을 위해 곡우에 비가 내리기를 기원했다고 합니다.

24절기 중 봄의 절기 - 청명과 곡우
24절기 중 봄의 절기 - 청명과 곡우

청명과 곡우의 주요 생활 풍습, 속담

청명(淸明), 한식(寒食), 식목일의 주요 생활 및 풍습

4월 초순에 오는 청명은 날씨가 좋아 예전에는 논농사 준비를 위한 밭갈이를 하는 등 농사 준비에 한창인 시기였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오는 한식에는 찬 음식을 먹는 날로, 예전에는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떡, 과일 등 찬 음식을 주로 먹기도 했습니다.

청명, 한식, 식목일 - 주요 생활 및 풍습
청명, 한식, 식목일 - 주요 생활 및 풍습

또한 한식과 청명에는 '손 없는 날' 이라고 하여 조상들의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을 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집을 이사할 때 많이 선택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식목일인 4월 5일은 그날을 전후로 1개월 간 '국민 식수 기간'으로 전 국민 나무 심기를 독려하여 산지 자원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곡우(穀雨) - 주요 생활 및 풍습

곡우는 봄의 마지막 절기로 농경 사회에서는 준비된 농토에 볍씨를 담그면서 못자리를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특히 못자리가 잘 되면 그 해 가을에 큰 수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24절기 중 곡우
24절기 중 곡우

하지만 이런 속담도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어 어떤 곳에서는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고 믿는 곳도 있었습니다. 기타 곡우 속담 중에는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반대로 '곡우에 가물게 되면 땅이 마른다'라는 말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청명과 곡우의 주요 음식

청명, 한식에 즐기는 음식

24절기 중 청명, 한식 - 음식
24절기 중 청명, 한식 - 음식

청명, 한식 절기에는 주로 찬 음식과 떡, 과일을 즐겨 먹었습니다. 또한 묫자리를 돌보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음식들과 함께 조상의 묘에 예를 표하기도 합니다.

곡우에 즐기는 음식 - 조기, 송어, 곡우물, 나물, 찰밥

24 절기 중 곡우 - 음식
24 절기 중 곡우 - 음식

곡우에는 음식과 관련된 속담도 있는데,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는 말이 전해지는데, 조기는 산란 시기에 소리를 내어 우는 습성이 있는데 주로 그 시기가 곡우 절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내려오는 속담입니다. 한편 북한에서는 곡우 시기에 산란기를 앞둔 통통한 송어를 잡아 술과 함께 즐겼다고 합니다. 또한 김포 지역에서는 곡우 절기가 지나면 봄나물이 뻣뻣해지기 때문에 곡우에 나물을 준비해서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경상도 지방에서는 찰밥을 해서 먹었는데, 파종하는 종자의 명이 질겨지라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이른 봄부터 곡우 시기까지는 나무에 물이 많이 차오르는 시기이므로 곡우물을 즐겼는데, 곡우물은 주로 자작나무나 박달나무 수액으로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댓글